Document

과거에는 폐경을 일종의 노화현상으로 받아들여 모든 여성이 나이가 들게 되면 겪게 되는 생리적인 현상으로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폐경으로 인한 여러 가지 불편한 증상 뿐만 아니라 골다공증이나 심혈관 질환과 같은 생명과 직결된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는 점으로 인해 폐경기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더구나 근래 들어서 점차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폐경 후에 삶을 살게 되는 여성들이 증가하게 됨으로서 그 중요성이 더 커진다고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여성의 평균수명이 82세 정도이므로 약 30년 이상, 즉 인생의 1/3이상을 폐경 후에 영위하게 되는 것입니다.

    • 신체적 증상

      · 월경이 끝난 지 일년이 넘었습니까?
      · 얼굴이 화끈거리거나 밤에
        식은땀을 흘립니까?
      · 밤에 자주 깹니까?
      · 가슴이 두근거리는 경험을 합니까?
      · 성교시 통증을 느낍니까?
      · 성교시 쾌감이 떨어지거나 오르가즘을
        거의 느끼지 못합니까?
      · 요실금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 심리적 증상

      · 최근에 더 우울해 집니까?
      · 기분변화가 있습니까?
      · 집중력이 떨어졌습니까?
      · 더 신경질 적이 되었습니까?
      · 매사에 결정내리기가 힘듭니까?
      · 얼마 전에 있었던 일에 건망증을
        경험합니까?
      · 매사에 불안 하거나 두려워합니까?

* 신체적 증상과 심리적 증상에서 각각 "예"라고 답한 수가 4개 이상이면 당신은 아마 폐경기를 겪고 있는 것입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이 증상들을 의사에게 말씀드리고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극복방법

      · 신체를 청결히 하고, 음주나 흡연을 멀리합니다.
      · 영양면에서 균형 잡힌 식사 - 특히 칼슘이 충부한 음식을 많이 섭취합니다.
      · 규칙적인 운동 -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여 젊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취미생활, 봉사활동
      · 정기적인 종합건강진단으로 질병유무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치료는 물론 담당의사와 상담하여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받도록 합니다.
      · 갱년기 증상이 있을 때는 호르몬요법 등으로 치료를 받도록 합니다.

    • 호르몬요법(HT)을 할 경우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하나요?

      · 자궁경부암 검사
      · 골반 초음파 검사
      · 혈액 검사 (간기능 검사, 콜레스트롤 검사 등)
      · 골다공증 검사
      · 유방암 검사 (유방 X-선 검사 및 유방 초음파 검사)

    • 호르몬요법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안면홍조 등의 폐경 증상이 호르몬요법으로 치료되면 태켱 이후의 삶이 훨씬 편안해집니다.
      · 관절염, 치매, 노화예방이 됩니다.
      · 장기적으로 처방받으시면 골손실과 골다공증이 예방됩니다.
      · 호르몬요법은 심장 질환 발생율 50%정도 감소시킵니다.
      · 폐경후 발생될 수 있는 비뇨 생식기계의 문제들을 감소시킵니다.
      · 장기 기억이 증진된다는 보고가 많이 나오고 있으며 대장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 호르몬요법을 받을때 부작용은 없을까요?

      호르몬요법을 하지 않는 여성과 비교하여 오히려 자궁암 발생률이 적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호르몬요법 초기에는 일부 여성들이 부정출혈, 유방 압통, 가벼운 체중증가, 생리전 증후군 등을 경험하기도 하는데, 이는 호르몬 요법을 시행할 때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트론의 투여량 및 투여방법을 적절히 조정하면 줄일 수 있습니다.

      유방암 발생률이 다소 증가한다고들 알고 계시지만, 실제로는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고 호르몬요법을 시작하기전 유방촬영술이나 유방초음파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유방암 환자들이 치료 중에 정기 검진에서 발견되는 것이며 이것은 오히려 조기발견으로 예후가 더 좋은 것으로 되어있어 유방암을 걱정하여 호르몬요법을 포기한느 것은 좋지 않은 결정입니다.

      폐경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라면 에스트로겐 결핍증이 나타나는 기간동안 (2~3년 정도), 골다공증, 심혈관계질환, 대장암 예방, 비뇨생식기질환등의 예방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치료가 원칙입니다.